본문 바로가기
토목공사

보조기층이란?

by 공사업무일지 2025. 4. 29.

 

1. 보조기층이란?

 

'보조기층(Subbase Course)'이란, 도로포장 구조에서 기층(base course) 아래에 설치하는 하부층으로, 노상(지반)과 기층 사이의 하중 전달 및 지지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기층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지반과 포장층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지지층"이다.

 

(참고: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공사)

 

2. 보조기층의 목적

보조기층은 단순히 두께를 채우는 층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중 분산: 상부 하중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켜 노상에 전달

 

지지력 강화: 노상 강도가 불충분할 경우 추가 지지력 확보

 

배수성 향상: 지하수나 침투수로부터 상부 포장층 보호

 

균일한 지지면 제공: 기층 시공을 위한 평탄하고 균질한 기반 조성

 

동결·융해 피해 방지: 기후 변화에 따른 노상 동결 방지 효과

 

3. 보조기층의 시공 절차

도로공사 표준시방서」에 따르면 보조기층 시공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시공단계 주요 내용
노상 정지 및 다짐 설계고에 맞춰 노상 평탄성 및 다짐도 확보
보조기층 재료 반입 규격 골재 또는 안정처리토 등 사용
보조기층 재료 포설 일정 두께로 균일하게 살포
1차 다짐  진동롤러, 타이어롤러 등을 이용해 1차 다짐
수분조정 및 2차 다짐 최적 함수비 유지하며 최종 다짐
평탄성 및 다짐도 검사 설계 기준 충족 여부 확인

 

4. 보조기층 재료의 종류

보조기층에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 사용 목적과 지반 조건에 따라 선택된다.

재료 종류 특징 및 용도
천연골재(쇄석) 일반적인 도로 보조기층. 강도 및 배수성 양호
안정처리토(석회·시멘트 안정처리) 약한 지반 보강용. 내구성 강화
재활용 골재(RCA) 친환경 자재 활용. 주로 저교통량 도로에 적용
모래 및 자갈 혼합토 배수성이 필요한 경우 사용

 

(참고: 「도로포장설계기준」 국토교통부)

 

5. 보조기층 시공 시 품질관리 기준

품질 항목 기준
다짐도(상대밀도) 95% 이상
평탄성 ±10mm 이내 (2m 스틸 스트레이트 엣지 기준)
함수비 최적 함수비 ±2% 이내
입도  설계입도범위 준수 (입도곡선 검사)

 

(참고: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6. 보조기층 시공 실무 적용 사례

고속도로 및 주요 간선도로: 천연 쇄석 보조기층 적용

 

지방도 및 농어촌 도로: 재활용 골재 보조기층 적용

 

연약지반 구간: 석회 안정처리토 또는 시멘트 안정처리토 사용

 

우수배수가 필요한 도로: 자갈 기반 배수성 보조기층 설치

 

요약 정리

 

보조기층은 포장구조에서

노상과 기층 사이를 연결하며 하중을 분산시키고, 지지력을 강화하는 핵심 하부층이다.

 

품질 좋은 보조기층 시공은 포장 전체의 수명과 성능을 좌우하므로, 재료 선택, 두께 관리, 다짐 품질, 배수성 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도로포장 초기 하부공정에서의 품질관리는 이후 상부 포장 품질 확보의 필수 전제 조건이다.

 

참고 자료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공사 「도로포장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건설현장 품질관리 매뉴얼」 한국건설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