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

건설사업관리(CM)의 개념과 제도 도입 배경 인천국제공항에서 시공책임형 CM까지 1. 건설사업관리란?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는 건설공사의 전 과정을 전문 관리주체가 발주자를 대신해 통합적으로 계획·관리·조정하는 제도이다. 단순한 감리나 대행 수준을 넘어, 기획부터 타당성조사, 설계, 시공관리, 사후평가까지 건설 전 단계를 포괄한다.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제8항과 제9항에 그 정의가 명시되어 있으며, CM은 오늘날 대형 공공사업의 필수 관리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2. 제도 도입의 배경: 인천국제공항 사례우리나라에서 CM 방식이 처음으로 본격 도입된 사례는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이다.당시 김포공항 외에는 국제공항이 없던 상황에서, 신공항 건설은 국가적 경험이 전무한 초대형 프로젝트였다. 한국전쟁 이후의 건설 시.. 2025. 4. 25.
기준먹매김의 개념과 실무 적용 건축물의 정밀 시공을 위한 기준 설정1. 기준먹매김이란? 기준먹매김이란 건축물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의 표시 작업을 의미한다.건축 공사의 모든 시작점은 정확한 기준 설정에서 출발하며, 이는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과 시공 정확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특히 버림콘크리트면이나 기초콘크리트면에 먹을 놓는 작업은 시공 전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며, 담당 기술자가 직접 확인해야 할 정도로 중요성이 높은 공정이다. 2. 기준먹매김의 목적과 중요성 ▶ 구조물의 수직도와 수평도 확보 ▶ 골조 공사 전체의 정확한 기준 확보 ▶ 마감공사의 품질 확보를 위한 선행 조건 ▶ 고층 구조물의 층간 누적오차 방지 기준먹매김은 건축물 전체에 일관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동일한 작업자가 일관되게.. 2025. 4. 24.
BOT, BTO, BTL 등 민자사업 방식과 법적 근거 민간투자사업 개요와 추진방식의 이해 1. 민간투자사업이란?민간투자사업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사업비를 부담하지 않고, 민간자본을 활용하여 사회기반시설을 조성하는 방식이다.「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을 근거로 하며, 공공시설의 건설과 운영을 민간 부문이 수행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방식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교육부가 학교를 건설해야 하는데 예산이 부족할 경우, 민간사업자가 자금을 조달하여 학교를 건설하고 일정 기간 운영한 후 국가에 소유권을 이전하는 형태가 대표적인 민자사업이다. 2. 사회기반시설의 범위민간투자법에서 말하는 '사회기반시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도로, 철도, 항만, 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등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는 시설 유치원, 학교, 도서관, 과학관, 복합문화시설, .. 2025. 4. 24.